얌얌얌

혜성으로 부터 지구지키기

반생자 2008. 6. 9. 09:30

 

 이 소행성 다시 말하면 지구 근접 천체(NEO)란 무엇일까?
 태양계에는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소행성과 혜성이 존재하며, 대부분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궤도를
 공전한다. 이들 천체는 목성(태양계 내 행성 총 질량의 90%에 해당)과 같은 행성의 중력에
 의해 특이한 궤도를 갖거나, 다른 소행성(또는 혜성)과의 충돌로 인해 서서히 궤도가 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소행성과 혜성은 이따금 궤도를 이탈, 지구 공전궤도를 통과하거나 지구로부터
 0.3AU 이내로 들어오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소행성과 혜성을 가리켜
 지구접근천체(NEO, Near-Earth Objects)라고 부른다. 또한, 지구접근천체 가운데 지구
 최접근 거리 0.05AU 이내, 지름 150m 이상인 것은 지구위협천체(PHA,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로 분류된다. 현재 300여 개의 소행성이 PHA 올라가 있으며, 새로운 천체들이 속속 발견되어 늘어나는 추세다.

혜성은 태양에 접근하면서 밝아지고, 긴 꼬리를 늘어뜨리기 때문에 망원경 없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소행성은 표면이 암석 또는 금속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대체로 작고 어두워서 맨눈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소행성 가운데 가장 큰 세레스(Ceres, 지름 933km)가 1801년에 와서야 발견된 이유는 이처럼 작고 어둡기 때문이다.


지름 1km 이상인 지구접근소행성은 약 1000개, 지름 100m인 것은 대략 10만 개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수치는매우 불확실하다.

 실례로, 지구접근소행성 가운데 지름 1km 이상은 500에서 1500개 사이, 100m 이상인 것은 3만에서
30만 개 사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소행성과 혜성의 개수에 관한 한 우리가 아는 자료의 대부분은 통계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지속적인 NEO 탐사 프로그램이요구되는 이유는 여기 있다.

 

- NEO가 지구 충돌 시 미치는 영향
지구는 태양계의 다른 천체들에 비해 충돌 흔적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그 주된 원인은 단기적으로 물과
바람에 의한 풍화에 있으며,장기적으로는 판의 이동에서 찾을 수 있다. 지구에 남은 운석구에 대해서는
최근 와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충돌의 환경적 영향에관한 연구가 시작된 것도 불과 얼마 전의 일이다.
최근 발견된 소행성의 충돌흔적 가운데는 멕시코 칙슐럽의
지름 180km 운석구와 독일 라이스(Reis) 지방의 25km 짜리 운석구 등이 있다. 그 가운데 멕시코 칙슐럽에 떨어진 소행성은 6,500만 년 전 공룡의 멸종을 일으킨 주된 원인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작은 암석이 지구에 충돌하는 일은 자주 일어나고 있다. 2000년 1월 18일, 캐나다
유콘(Yukon) 지역 20km 상공에서 발생한 지름 5m급 유성체이 그 한 가지 예다. 당시 주민들은 커다란 광음과 함께 밝은 섬광을 목격했으며, 폭발과 동시에 일어난전자기 펄스 때문에 그 지역 일대에 순간적으로 전기공급이 중단되기도 했다. 충돌에 의한 효과 가운데는 충격파, 해일,대기 중 물질 유입,

전자기적 변화 등이 있으며, 소행성의 크기에 따라 복합적인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

10km급 천체가 충돌할 경우 그 피해는 즉시 지구 전체로 확산되며, 대부분의 생물종이 멸종위기에

직면한다. 그러나 그러한 사건은 극히 드물게 일어나며, 지름 수 km에서 10km급의 소행성 충돌 역시

가능성이 희박하다. 그러나 1km급 소행성 충돌이 발생할 경우 지구 전체에 커다란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1km급은 10km급 소행성 충돌에 비해 빈도수가 크며, 지름 1km 미만인 천체에 비해 훨씬 심각한 피해를 주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사건으로 분류된다. 수 백 m급 지구접근천체는 국지적으로 치명적인

피해를 부를 수는 있지만, 지구 전체에 대해서 심각한 사건이 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리고 지름이
50m보다 작은 소행성들에 대해서는 지구대기가 훌륭한 '방패' 역할을 해주고 있다.

섬나라의 경우 쓰나미에 의한 대규모 피해를 예상할 수 있으며, 충돌지점이 태평양이라고 가정했을 때

일본, 뉴질랜드 등과 같은 나라가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것처럼,
북해, 또는 대서양에 떨어지는 소행성으로 인해 유럽 서부해안이 파국을 맞을 수도 있다.

 


[피해규모]

10m    20 킬로 톤    1/1 이상 
대기권 밖에서 폭발, 인공위성 파괴, 핵폭발로 오인, 조기경보시스템 발동 가능
 
100m  50 메가 톤 1/1,000년
 50km 반경 이내 파괴, 퉁구스카, 울프 운석 구덩이 규모의 충돌 자국 형성, 단기 기후변화, 해일 발생, 해안지역 파괴
 
500m  1,000 메가톤     1/50,000년
 국부적 지역 파괴, 중단기 기후변화, 해일 발생
 
1km  100,000 메가 톤   1/200,000년
 전 지구적 재난에 해당, 장기 기후변화
 
1.5km  1,000,000 메가 톤 1/백만년 (복권당첨확률보다 높음)
 약 10억 명 사망, 장기 기후변화 1997 XF11급 소행성, 전지구적 재난 발생
 
10km  100,000,000 메가 톤  1/1억년 (내가 비행기를 타고가도 죽을활율보다 훨신높음)
 인류절멸 (예:6,500만 년 전 공룡 멸망)
 
[대책방법]

1.혜성이 떨어지지 않게 한다

  :혜성이 구성성분이 중요, 혜성이 올줄 100년전부터 알 수도 있고 불과 몇개월전에 알 수도 있다

  a.핵미사일 발사로 파괴한다 : 잔해가 지구에 낙하, 구성성분이 스폰지 구조일경우 파괴가 안됨
  b.혜성에 태양 돗을 설치한다 즉 진로를 변경한다. : 설치가 어려움 장시간이 소요된다,
  c.혜성주변에 태양반사판 인공위성을 띄워 혜성의 한쪽 면에 태양광을 투과하여 진로를 변경한다
   :갑자기 발견된 혜성에는 효고가 없음,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커다란 혜성은 진로 변경이 어렵다
  d.혜성에 구멍을 뚫고 폭약을 설치한다 : 더 큰 효과를 주기 위해 : 혜성에 착륙하기가 어렵다,

      설치도 어렵다,
    즉 실패할 확율이 높다
 

2.떨어지더라도 피해를 최소화 한다
:떨어질곳을 예측하여 대비, 장기간 햇빛차단과, 화산재등 먼지에 등의 환경을 이겨내기 위한 설비

 및 방재물품 준비
:기타등등

-현재연구 인공위성 발사 (혜성에 착륙예정)

 임팩트(deep impact)는 미국항공우주국의 혜성에 물질을 충돌시키는 실험 이름이다. 프로젝트의

 이름은 같은 제목의 영화 딥 임팩트에서 따왔다.
 미국 항공 우주국에서는 인공위성을  템펠 1호 혜성으로 보내어 2005년 7월 4일을 기준으로 도달시킨다.
 거기에서 세탁기 크기의 구조물을 혜성에 충돌시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한다. 성공했음

 2013년께 2004 MN4의 궤도로 진입한 뒤 소행성에 착륙, 표면에 각종 측정기기와 송수신기를
 설치해 물리적 특성과 지질학적 정밀 조사를 진행한다. 이 우주선의 더 중요한 임무는 이 소행성의
 정밀궤도를 확인하고 궤도변경에 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14∼2024년에 레이저 발사 또는 폭발물 매설 등을 통해
 궤도변경을 시도함으로써 지구와의 충돌을 방지한다는 구상이다


한 나라의 역사 뿐아니라 우주 속의 지구도 과거 수십억년 동안 수많은 혜성 충돌을 겪으면서
나태해진 생물들을 제거해왔다. 혜성이라는 작은 우주파편이 충돌하면 어떻게 되는지는 교육을 통해서
배워왔고 몇몇 영화를 통해 이미 잘 알고있다.
우리가 알고있는 공룡이 멸종한 이유도 거기에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혜성 충돌횟수의 그래프와 현재의 생물들이 어떻게 종을 늘려왔는지에 대한 그래프가

 일치하는데, 이것은 생명체가 더욱 더 빠르게 다양한 종으로 진화할수 있었던건 혜성 충돌의

 영향의 증거라한다.
생물이 혜성 충돌과 같은 재앙에서 다른 종들과 살아남으려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 하려는 특성이

 필요했다. 그러기 위해선 지능을 지니는 쪽이 더 유리했고, 환경에 대한 융통성을 높이고, 지능을

 높가면서 진화의 가닥을 잡아왔다. 지난 4억년동안 급격하게 늘어나는 혜성출돌 속에서 그 종의

 숫자는 더욱 다양해졌다.
 혜성충돌이 열등한 종은 멸종시키고 생명 진화를 촉진 시키는 원동력이였던 것이다.
 하지만 너무 많은 혜성충돌에 의한 잦은 변화가 있었다면 생명이 살아남아서 진화하기는

  힘들었을것이고  너무 적었더라도 변하지 않는 환경에 익숙해지고 나태해져서 더디게 진화하게

  된다고한다.

'얌얌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에 관한 나의 생각  (0) 2017.04.12
강아지 정보오오호  (0) 2008.03.28
타임머신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  (0) 2008.03.28
우주로의 여행은 꿈이 아니다  (0) 2008.03.28
2015년 지구멸망 설이다~~~  (0) 2008.03.28